현재 AICPA학원에서 일을 하고 있으면서 생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굳이 학원을 다니지 않고 혼자 공부한다면 어떨까?" 라는 질문을 해봅니다.
학원마다 제휴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Uworld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있고 Becker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한국 AICPA학원마다 제휴 프로그램에 차이가 있습니다. 어쨋든 혼자 공부하려고 해도 프로그램은 구매해야합니다. 실제 프로그램을 돌리면 시험 유형도 알 수 있고 모의고사도 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프로그램 자료만으로 시험 준비를 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을 저 스스로에게 던져 본다면 제 답변은 "Yes or No"입니다.
1. 비효율적 시간 분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리 자료들이 있습니다. 읽어보면 매우 잘 정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 자료를 모두 혼자 공부할 수 있을까 질문해보면 어렵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저야 선생님이기 때문에 자료를 분석해보고 찬찬히 곱씹어 보지만 실제 시험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그렇게 하기 어렵습니다.
설령 자료를 곱씹어 본다고해도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지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어느 프로그램을 돌려 봐도 Business law문제는 상당히 어렵게 나옵니다. 아무래도 누적된 문제들이 많다보니 과거 문제부터 최근 제작한 문제까지 다양하게 제공합니다. 그런데 시험에서 과연 이렇게 어려운 난이도가 나오는게 맞는지 의문스럽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이정도 노력을 기울여야 되는지도 의문점이 듭니다. REG과목의 중심은 Taxation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Business law도 중요하지만 Taxation의 중요성을 너무나 명백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혼자 공부한다면 시간 투자에 비효율적 배분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Microsoft Designer
2. 질문을 할 대상 여부
공부하다보면 당연히 궁금증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를 풀다가 궁금증이 생길 수 있고 문제를 풀지 않더라도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문제는 프로그램상으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프로그램별로 질의 문답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AI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면 분명 궁금점을 해결할 길은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편할까요?
자료를 찾는 즐거움도 있겠지만 불필요한 에너지를 더 써야하는 부담도 있기도 합니다. 학원에 있다면 선생님께 바로 질문하면 끝나는 일을 컴퓨터와 씨름하면서 해결해야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직접 학원에서 선생님과 수업을 듣는데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Microsoft Designer
물론 학원에 와서 수업을 들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혼자 시간이 될 때 시간을 내고 학습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집중력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학원에서 직접 수업을 들을 때 집중력이 좋다고 합니다. 실제 저도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가능하다면 학원에서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학원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 웹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의 공식적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정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 게시, 배포, 도용 등을 금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저작자의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KAIS회계학원에 대해 > KAIS회계학원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원에서 공부하는 학생들 - AICPA학원에서 제공하는 것들 (1) | 2025.03.19 |
---|---|
AICPA학원에서 수업듣는데 식사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 12층 휴게실, 외부 식당 (0) | 2025.02.28 |
노베이스로 AICPA시험을 준비한다면 걸리는 시간은? - 회계, 경영 비전공자 학생들을 살펴보면서 (1) | 2025.02.13 |
AICPA시 회계 기초 + 회계 심화 트랙 (0) | 2025.02.04 |
AICPA시험 합격 후에도 진로 상담을 해주는 곳이 있다면?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