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8

학원은 계속 생각한다 - 학생들의 미래에 대해 (AICPA, USCPA)

KAIS한국회계학원에서 계속 일을 하면서 느끼는 점이 있습니다. 학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학생들의 미래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한다는 점입니다. "누구나 당연히 학생들의 미래를 생각하지 않나?""시험 합격을 목표로 두고 있는 학원이라면 학생들의 진로에 대해 고민하지 않나?" 이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학원이기 때문에 단기 목표에만 치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원의 단기 목표는 시험 합격입니다. 시험 합격을 잘 하도록 판을 만들어 놓는다면 학원 경쟁력도 올라가고 지속적으로 등록 학생들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험 합격은 하지만 합격 이후의 방향에 대해 제시를 해주는 것을 못한다면 어떤 의미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시험을 준비하는 이유도 그리고 시험 합격하는 이유도 이를 ..

[AICPA시험] FAR파트 중 유형자산 Impairment

Accounting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혼란스러운 것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거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Journal entry 즉 분개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물건을 사거나 팔았다면 당연히 물건 수량에 변동이 있어서 Journal entry를 합니다. 그런데 아무런 거래가 없었더라도 연말이 되었을 때도 Journal entry를 합니다. 이 점 때문에 처음에 회계를 배우는 사람들이 어려워 합니다. 그래서 저는 애초부터 "Journal entry는 1년에 2번 한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거래가 발생할 때 1번, 연말에 1번" 이렇게 기억하도록 합니다. 연말에 Journal entry를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그렇지만 하나로 귀결할 수 있는 것은 현재 들고 있는 자산의 가치가 연말..

USCPA시험 전략적으로 선택과목 정하기 - TCP, BAR, ISC

USCPA시험 검색을 하다보면 선택과목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선택과목은 TCP, BAR, ISC로 나뉘어 집니다. 제도 시험이 된지 2년이 되어가는 시점이다보니 아직도 안정화되는 부분도 있고 여전히 조정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과목별로 합격률 차이가 큰 부분에 대해서는 변화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학원 합격수기를 보면 선택과목 전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http://www.kais.co.kr/smis/board/view.do?bid=SUCCESS&c_index=383위 합격 수기 중 일부만 발췌를 해보았습니다. 전체 내용은 링크를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TCP를 선택한 이유와 공부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http://www.kais.co.kr/smis/board/view.do?c..

AICPA시험 각 State마다 자격요건 확인하기 - 사람의 성향, 취향에 따라

AICPA시험 합격 후, 본인이 활용하고자하는 방법은 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학생들을 만나보면 AICPA시험 합격 후 시험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각각 다양하게 생각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 중 미국에 직접 가서 일을 하는 경우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은 50개 주가 합쳐진 나라고 각 주는 외교권이 없는 한 나라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각각 다른 법이 적용되고 자격증 제도도 각각 따로 운영됩니다. USCPA시험은 Uniform exam으로 어느 주에서 시험을 치든 상관없이 동일합니다. Uniform 시험의 장점이 이렇습니다. 만약 Uniform exam이 아니었다면 본인이 시험칠 State를 정하고 그 State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이런 수고로움을 덜 수 있는 것이 Un..

[AICPA시험] Bond payable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작업

Bond payable이 등장하면 여러가지 단어도 등장하고 평소에 생각하지 않은 방식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부분이 바로 Present value에 대한 부분입니다. Present value는 미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재평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각하면 단순합니다. 지금 당장 $1,000받는 것과 10년후 $1,000받는 것을 선택하라면 대부분의 사람은 $1,000를 지금 당장 받고자 합니다. 아주 가끔 다수가 주장하는 것에 반대하는 사람이라면 10년후 $1,000를 받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AICPA학원에서 배우는 Accounting은 일반적인 사람, 특별히 수익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을 기준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특이한 상황은 고려하지 않..

[AICPA시험/USCPA시험] Capital Expenditure 자본적 지출 vs. Revenue Expenditure 수익적 지출

미국회계사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Accounting을 배우다보면 외워야하는 것이 많습니다. 일정한 큰 원칙을 깨닫게 되면 외우는 부분이 줄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늘어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Accounting회계를 배우는 사람들에게 이해를 요구하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잘 이해가 되지 않은 내용도 암기하고 나면 나중에 이해가 되는 측면이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Accounting내용 중 Captial expenditure 자본적 지출과 Revenue expenditure 수익적 지출에 대한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PPE구입 이후에 추가로 돈을 쓸 수 있습니다. 그 돈을 쓴 효과에 따라 크게 Capital Expenditure과 Revenue Expenditure로 나뉩니다. PPE의..

미국 석사 프로그램 STEM in Accounting and Finance 찾기

AICPA학원에 등록하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미국 취업을 목표로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일을 하고 있는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에서도 최근 미국 취업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제 학원에서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직접 찾아와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학원 관계자분들과 심층 상담을 통해 학원 등록을 결정합니다. 제 입장에서 학생들의 관심사를 듣고 나서 학생들에게 어떤 정보를 더 제공할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제가 찾아보게된 자료는 STEM 전공에 해당되는 Accounting회계, Financing재무 석사 과정입니다. https://www.aicpa-cima.com/resources/landing/accounting-is-stemAICPA협회에서도 STEM과..

AI가 미칠 USCPA, AICPA에 대해 (저년차 vs. 고년차)

시대가 변함에 따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것도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학원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선생님의 역할도 바뀐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AICPA시험 또는 USCPA시험을 다 마치고 사회로 진출할 때 요구되는 역할과 능력도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특별히 AI가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세상일수록 변화를 요구하는 범위와 속도가 현재와 많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원에서 최근 포스팅이 올라왔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고 제 생각도 덧붙이도록 하겠습니다.1. 업무의 본질 변화: 전략적 의사 결정 집중AI가 데이터를 처리하고 회계작업의 자동화를 가능케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반복 업무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전략적 판단, 복잡한 재무 분석, 감사 품질 관리, 리스크 관리 등..

AICPA시험 Lease 이슈들 - FAR, BAR 관점

학원에서 일을 하다보면 학생들이 여러 질문을 합니다. 선택과목을 어떤 것으로 정해야하는지 질문을 요즘 제일 많이 듣는 것 같습니다. 학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BAR, TCP 입니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BAR은 FAR과 맞닿아 있다보니 두 과목을 같이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Lease를 중심으로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학생들이 Lease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이유학생들은 Lease를 이해하기 어려워 합니다. 물건을 Lease를 해주는 Lessor입장, Lease를 받는 Lessee입장이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Lessor로 살아본적이 별로 없다보니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Lease를 하고 Payment금액을 결정하는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아마도 Lessee입장에서 살았더라도 상대..

AICPA학원 학점 시스템 운영 - 오프라인, 온라인 수업

AICPA학원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곳은 KAIS한국회계학원입니다. 운영되는 수업도 가장 많고 선생님들이 실제 수업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일반 입시학원에 비하면 규모가 적어 보일 수 있지만 AICPA학원들 중에서 가장 큽니다. 상담을 받으러 직접 학원들을 둘러보신다면 충분히 느낄 수 있습니다. 학원이 학점은행제에 해당되는 기관이라면 학점을 줄 수 있습니다. AICPA시험을 치르기 위해서 일정 조건 이상 학점을 취득해야 합니다. 학생의 상황에 따라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점을 채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학점은행기관 특성에 맞춰서 학점 취득을 해야합니다. 온라인으로 학점을 주는 기관이 있고 오프라인으로 학점을 주는 기관이 있습니다. 일단 우리나라에서 온라인으로 학점을 주는 기관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