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d payable이 등장하면 여러가지 단어도 등장하고 평소에 생각하지 않은 방식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부분이 바로 Present value에 대한 부분입니다. Present value는 미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재평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각하면 단순합니다. 지금 당장 $1,000받는 것과 10년후 $1,000받는 것을 선택하라면 대부분의 사람은 $1,000를 지금 당장 받고자 합니다. 아주 가끔 다수가 주장하는 것에 반대하는 사람이라면 10년후 $1,000를 받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AICPA학원에서 배우는 Accounting은 일반적인 사람, 특별히 수익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을 기준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특이한 상황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Microsoft Designer
Bond payable에 대해 이해할 때 주의할 부분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곳부터 본격적으로 Present value가 적용된다. 현재 $100와 1년후 $100, 2년후 $100, 10년후 $100가치를 따져본다. 미래 현금을 현재로 되돌리면 얼마 가치가 있는지 정하는 것이 Present value이다. 이 개념이 앞으로 Bond, Note, Lease를 배우는데 핵심적인 부분이다.
1. B/S, I/S이해하기
B/S에서 Bond payable를 표시할 때 다른 연관계정도 같이 보여준다.
Liabilities
1)Note payable
2)(Discount)
3)Carrying value, Book value
1)Bond payable
2)(Discount) or Premium
3)Carrying value, Book value
B/S에서 위 1), 2), 3)을 모두 보여주는 경우도 있지만 3)만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결론은 3)을 보여주기까지 어떤 단계를 거칠 것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
I/S에서 Interest expense는 기본적으로 Other expense처리한다. 우리가 PPE에서 대출을 받고 유형자산을 설치하거나 투자하는 경우를 보았다. 이 때 Interest cost중 일부를 Capitalization을 하고 일부는 Expense처리를 했다. 하지만 Bond payable에서 발생하는 Interest cost는 무조건 Expense처리한다.
또한 Interest payable과 Interest expense에 대해 구분할 필요가 있다. Interest payable는 실제 납부해야하는 “현금”이다. 하지만 Interest expense는 비용처리부분이기 때문에 실제 납부해야하는 현금 금액과 일치하지 않다. 뒤에서 다룰 내용이지만 Interest payable 계산법과 Interest expense 계산법이 다르다.
(Bond의 Carrying value가 어떻게 변하는지 그림을 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Interest expense는 Carrying value 또는 Book value에 Market rate(%)를 곱한 금액이다. 반면 Interest payable는 Bond payable 값에 Stated rate(%)를 곱한 금액이다. Carrying value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아무리 Market rate를 채권 발행 시점으로 고정을 시켜도 Interest expense는 계속 바뀐다. 하지만 Interest payable는 매기간별로 줘야하는 이자는 정해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계정과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 B/S에 표기되는 계정, 그 계정의 숫자가 결정되는 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별히 Payable이란 이름과 Expense라는 이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Payable은 실제 줘야하는 돈이기 때문에 현금과 연관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Expense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금과 연관성이 높을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Bond에서 배우는 Interest expense는 실제 현금과 연관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계산시 우리가 생각하는 방법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학원에 수업을 듣다보면 다양한 정보를 얻게 됩니다. 잘 정리를 하여 연습한만큼 좋은 성과를 단기간에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ICPA시험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은 KAIS한국회계학원에서 상담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의 공식적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정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 게시, 배포, 도용 등을 금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저작자의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Microsoft Designer
'AICPA 공부에 대해 > 과목별 Issue poi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CPA시험/USCPA시험] Capital Expenditure 자본적 지출 vs. Revenue Expenditure 수익적 지출 (1) | 2025.05.07 |
---|---|
AICPA시험 Lease 이슈들 - FAR, BAR 관점 (0) | 2025.04.27 |
공부량을 상당히 줄이고 USCPA시험 합격을 하고 싶다면? TCP선택 (0) | 2025.04.07 |
AICPA시험관련 Accounting 알아두면 좋을 점 -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배우나 (0) | 2025.04.04 |
Debit Record와 Credit Record 살펴보기 - Journal Entry와 Balance Sheet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