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회계를 배우면 대차대조표를 사용방법을 익히게 됩니다. 영어로는 Debit record와 Credit record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종에 기록하는 위치라고 이해하는 것이 좀 더 편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Debit Record Credit Record
위와 같은 위치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Journal Entry라고 하여 분개라고 표현되기도 합니다. 분개할 때 위 표를 활용하게 됩니다. Journal Entry말고도 다른 영역에서 확장해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Balance Sheet 재무상태표를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Assets Liabilities
Equity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표현을 Debit, Credit record위에 올려 놓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Debit Record Credit Record
Assets Liabilities
Equity
이렇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아래와 같은 결론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Assets 계정 숫자를 증가시키기 위해 Debit Record에 작성해야하고 Assets 계정 숫자를 감소시키기 위해 Credit Record에 작성을 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2. Liabilities, Equity 계정 숫자를 증가시키기 위해 Credit Record에 작성해야하고 Liabilities, Equity 계정 숫자를 감소시키기위해 Debit Record에 작성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제 기준으로 볼 때 1번, 2번 원칙만 이해한다면 분개는 거의 완료된다고 생각합니다. 1번, 2번 개념을 충실히 지켜가면서 Journal Entry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Income Statement 손익계산서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Income Statement의 값들은 결국 Balance Sheet에 Retained Earnings(R/E)와 AOCI에 영향을 줍니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원칙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3. 만약 영업활동을 잘 해서 순이익이 증가되었다면 Equity계정의 R/E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Credit Record에 기록하면 됩니다.
4. 반대로 순이익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거래가 진행되었다면 Equity계정의 R/E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Debit Record에 기록하면 됩니다.
이 원칙을 생각하면 Income Statement에 영향을 주는 거래도 Journal Entry를 할 때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원칙을 깨지 않고 원칙을 준수하면서 분개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 해야하는 작업이 있습니다. 바로 계정과목을 외우는 것입니다. Balance Sheet에 있는 계정과목들이 각각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Income Statement에 있는 계정과목이 무엇인지 이 것이 순이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야 합니다. 암기가 된다면 그 후에 Journal entry는 수월하게 익힐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학습에 대한 부분이나 학원에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 학원 홈페이지를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의 공식적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정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 게시, 배포, 도용 등을 금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저작자의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AICPA 공부에 대해 > 과목별 Issue poi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량을 상당히 줄이고 USCPA시험 합격을 하고 싶다면? TCP선택 (0) | 2025.04.07 |
---|---|
AICPA시험관련 Accounting 알아두면 좋을 점 -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배우나 (0) | 2025.04.04 |
FAR, BAR에서 Ratio 표현 생각해보기 - AICPA시험 중 자주 나오는 표현 (A on B, A of B, A to B, A for B) (0) | 2025.02.07 |
AICPA시험에서 AUDIT 섹션이 더 깐깐한 이유는? (0) | 2025.01.22 |
AICPA시험에서 REG과목 특징 - 연방세(국세)와 주세(지방세)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