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CPA 공부에 대해/과목별 Issue points

Current Assets(유동자산) 중 Bank Reconciliation(은행계정조정표)문제에 대 - Book과 Bank 기록간 차이 살펴보기

Special_K 2024. 10. 10. 08:10

 

Current Assets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계정과목은 "Cash"입니다. USCPA문제를 풀다보면 Cash에 대한 문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객관식 문제로 등장할 때 문제를 쉽게 푸는 학생들이 많이 있지만 신기하게 Simulation문제를 접하면 거의 "멈춤"으로 변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Simulation문제는 주관식이기 때문에 직접 Check number를 확인해야하고 숫자도 확인해야합니다. 한마디로 실무를 해보라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그러면 우리가 Cash항목 특징을 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1. Check 수표의 존재

미국은 Check를 많이 씁니다. Pay Check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 수표로 월급을 주기도 합니다. 물론 요즘에는 전자 거래가 활발해졌기 때문에 통장에 월급을 입금해줍니다. 그런데 현금을 직접 입금하는 경우도 있지만 Check를 발행해서 계좌에 입금하는 시스템을 쓰기도 합니다. 결론은 Check라는 시스템이 작동됩니다.

 

한국에서만 생활한 경우 Check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릅니다. 본인이 Check를 발행할 일도 없고 Check를 받아도 현금처럼 동일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불편함도 잘 못 느낍니다.

 

그런데 Check에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Check를 현금으로 전환하기 위해 Check의 발생한 사람의 계좌에 현금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대략 시간은 하루 정도가 걸립니다. 즉, Check를 받아서 현금이라고 생각했는데 다음날 Not Sufficient Fund라고 하여 부도수표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당일은 알 수 없고 다음날 알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재밌는 점은 회사 입장에서 분개(Journal Entry)를 할 때 일단 Check를 발행하면 분개를 바로 해버립니다. 그리고 Check는 Cash와 동일하게 보기 때문에 바로 현금이 빠져나갔다는 분개를 합니다. 하지만 실제 은행 계좌에서 현금이 빠져나가는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회사 장부(Book)내용과 은행 계좌(Bank account)내용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Cash항목은 회사 장부와 은행 계좌사이 정보가 맞지 않아서 Reconciliation 즉 조정표 작성이 필요합니다.

2. 문제 풀 때 Book 값과 Bank값을 잘 봐야함

일단 Cash reconciliation문제가 등장하면 문제가 풀기 싫게 나옵니다. Check번호들이 쭉 나오고 통장 기록과 회사 장부 기록을 줍니다. Check 번호가 뒤죽박죽으로 등장하고 가끔 금액도 이상한게 툭 등장합니다. 그래서 문제푸는 팁을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Book에 있는 자료와 Bank에 있는 자료를 비교해야 합니다. 서로 동일한 Check 거래를 기록한 것이 있습니다. Book에서 Check 100번 $100,000가 출금되었다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Bank 계좌 기록에서도 Check 100번 $100,000이 출금되었다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손댈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Book에서 Check 101번 $10,000이 출금했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Bank에서 Check 101번 $10,000출금 기록이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록을 우리가 따로 정리해서 Bank reconciliation에 반영해야 합니다.

 

물론 반대가 될 수 있습니다. Check 102번 $1,000이 입금되었다고 Bank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Book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항목을 결국 은행계정조정표를 통해 Cash숫자에 손을 대야 합니다.

 

그런데 아주 사람의 성격을 시험하는 문제도 등장합니다. Bank에 입금 금액이 $958인데 Book에 입금 금액이 $985로 표시된 경우가 있습니다. 둘 중 하나는 Error입니다. 그래서 어떤 것이 Error인지 실물 Check자료를 보고 확인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너가 얼마나 꼼꼼한지 알려줘"라는 문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걱정하지마라. 시험장에는 Excel이 있다.

시험장에는 Excel이 깔려 있습니다. 그리고 Ctrl+C, Ctrl+V가 잘 작동합니다. 문제 자료를 잘 복사해서 붙여 넣고 숫자들을 비교하면 충분히 Book값과 Bank값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한동안 Bank reconciliation문제가 잘 나왔습니다. USCPA문제가 문제 은행형식으로 되어 있다보니 어느 순간에 이런류 문제가 갑자기 등장할 수 있습니다.

 

결국 꼼꼼하게 문제를 풀어 나가면 충분히 풀 수 있다는 점을 마음에 새겨두시고 공부에 전념하면 됩니다. 그리고 잘 모르면 선생님께 들고오면 선생님께서 다 설명해 줍니다. 걱정마세요.

 

 

감사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의 공식적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정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 게시, 배포, 도용 등을 금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저작자의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