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FAR 회계 시험에서 등장했던 개념이지만 현재는 BAR로 넘어간 개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Derivatives 파생상품입니다. 파생상품이 아주 유별나고 특별한 것은 아닌 것이 이미 우리가 익숙한 상품이기도 합니다. 암호화폐에 투자한 경험이 있다면 "선물"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Long으로 베팅하자! Short으로 베팅하자!"라는 말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미 파생상품 중 선물은 이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파생상품을 거래하는 목적 - Fair Value Hedge, Cash Flow Hedge
파생상품의 종류는 여러가지 있습니다. 우리들에게 익숙한 Futures 선물, Option 옵션도 있습니다. 이것말고 Swap 스왑도 있고 Forward contract 선도계약도 있습니다. 스왑의 경우 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스왑, 외국환을 기준으로 하는 스왑이 있습니다. 이 목적은 뚜렷합니다. 위험을 Hedge하기 위함입니다.
학생들과 수업시간에 이야기를 하면 파생상품의 목적을 "돈을 벌기 위해"로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BAR은 파생상품을 위험을 줄이는 수단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투자 수익처로 보는 것이 아니라 위험을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라는 것입니다. 학생 중에 "이렇게 선물을 사면 이익이 안나는데요. 왜 해요?"라고 질문합니다. 파생상품 구입 목적을 안다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Hedge Item의 유무에 따라 Fair value hedge와 Cash flow hedge로 나뉩니다. 만약 위험을 상쇄시키고 싶은 자산을 들고 있다면 Fair value hedge가 적용됩니다. 만약 없다면 Cash flow hedge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 회사는 이미 "금"을 갖고 있다고 해봅시다. 금 가격 변동으로 위험이 발생하니 금 값이 떨어지는 것을 대비해서 파생상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 "금"이란 Hedged Item이 있다면 Fair value hedge가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위 예제에서 금 값이 떨어지는 것이 걱정되서 "선물"이든 "옵션"이든 파생상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금 값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선물" 또는 "옵션" 가치가 올라가서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금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손해를 파생상품을 통해 메울수 있습니다. Hedged Item의 가치 변화, Derivatives의 가치변화를 장부에 표시해야 하는데 이 두가지 모두 Earnings 즉 Net Income항목에 표시합니다.
반면 Cash flow hedge는 Hedged Item이 없기 때문에 Hedged Item가치 변화를 표시할 수 없고 대신 구입한 Derivatives상품 가치를 장부에 반영하여 표시합니다. 이 때 Other Comprehensive Income(OCI)에 반영합니다. 장부 표기하는 방식을 크게 두가지로 나눈다는 것을 기억하면 됩니다.
2. 무엇이 걱정되서 선물 또는 옵션을 구입하는가?
2번 내용은 1번의 목적과 연관됩니다. 선물 즉 Futures는 크게 Long futures와 Short futures로 볼 수 있습니다. 일종의 홀짝 게임과 같습니다. 선물 가격이 오르거나 내려가거나 둘 중 하나입니다.
Long은 사다는 것을 의미하고 Short은 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Long futures는 본인이 정한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반면, Short futures는 본인이 정한 가격에 "팔" 수 있습니다. Long futures의 경우, 내가 사기로 한 가격이 1톤당 $100인데 만기시 선물 가격이 $150라면 1톤당 $50만큼 수익을 얻게 됩니다.
우리가 위에서 배운 Fair value hedge에 따르면 가격이 오른 것으로 인해 Hedged item에서 손실이 났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결국, 회사가 Long futures를 한 목적은 Hedged item의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 걱정되기 때문에 Long futures를 통해 손해를 만회하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Short futures 예를 들어 볼 수 있습니다. 1톤당 $100에 판다고 가정했을 때, 만기시 1톤당 가격이 $80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우리 회사는 1톤당 $20만큼 파생상품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국, 회사가 Short futures를 한 목적은 Hedged item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이 걱정되기 때문에 Short futures를 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그려서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3. 상품 설계자의 입장과 구입자의 입장
선물, 옵션과 같이 상품을 설계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편의상 상품을 설계해서 판매까지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상품을 구입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가 FAR 또는 BAR에서 다루는 쪽은 상품을 구입하는 쪽에 가깝습니다.
상품 설계를 하고 판매하는데 일반 대중이 사기를 당하거나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옵션 상품을 개발하고 1개당 $100수익이 발생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상품을 1명이 사면 $100수익, 10명이 사면 $1,000수익, 100명이 사면 $10,000수익이 발생합니다. 인원수가 커질 수록 피해 규모와 인원수는 지속적으로 커집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파생상품의 설계, 판매에 엄격한 제재가 적용되는 편입니다.
AICPA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쪽은 무역하는 회사 입니다. 금융회사 입장은 잘 등장하지 않습니다. 금융회사 특별히 은행의 Financial statement는 다른 일반 제조업 회사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시험에서 주로 등장하는 회사에 맞춰지다보니 Derivatives도 그 특징에 맞춰서 시험에 등장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이 시험 공부에 관심이 생긴다면 KAIS한국회계학원에 연락을 주셔서 상담 받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막연히 혼자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조언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의 공식적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정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 게시, 배포, 도용 등을 금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저작자의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