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발생하지 않는 거래를 생각하고자 한다면 가정을 하거나 상상을 해야합니다. 재무상태표를 만들거나 어떤 거래에 대해 분개 (Jounal entry) 처리는 어떤 거래가 발생한 것을 근거로 진행합니다. 사건 발생 없이 분개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생각하기엔 어렵습니다.
연결재무제표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는 우리가 상상을 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먼저 연결재무제표를 만드는 이유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P회사가 S회사의 주식을 80% 소유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때 P회사는 S회사의 대주주로서 S회사의 이사회 선출에 큰 압력을 넣을 수 있습니다. P회사가 원하는 사람으로 S회사 이사회로 채울 수 있고 이사회를 통해 경영인 선발을 진행하게 됩니다. 결국 P회사는 S회사에 Controlling interest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상당한 영향을 넘어 통제하는 힘까지 얻게 된 것입니다.
이런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는 P회사는 S회사를 포함한 재무제표를 보고해야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마치 S회사는 P회사내 하나의 부서처럼 행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P회사의 F/S와 S회사의 F/S를 합쳐서 보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합쳐서 보고하는 것을 Consolidated F/S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 Date of Acquisition때 Eliminating entry 생각하기
P회사가 S회사의 과반수 초과 지분을 소유한 시점을 Date of Acquisition(DOA)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P회사는 S회사의 순자산 평가 실시를 하면서 S회사의 Book Value of Net Assets을 넘어서는 Fair Value of Net Assets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예를 들어 S회사가 R&D프로젝트를 통해 어느 정도 성과물이 나온 것에 대해 Assets으로 생각해서 장부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결국, S회사의 Net Assets을 다시 평가해서 Fair Value로 평가한 다음 P회사 Assets에 집어 넣는 작업이 이어지게 됩니다. 생각해보면 간단합니다. 본인이 다른 회사의 재산을 사오는데 그 회사가 평가한 장부상 금액이 중요할까요? 아니면 실제 시장이 평가하는 금액이 중요할까요? 당연히 시장에서 평가하는 금액이 중요하고 그 금액을 P회사의 장부에 반영하길 원할겁니다.
2. NCI의 등장
Noncontrolling interest(NCI)가 등장합니다. 만약 P회사가 S회사 지분 80%를 인수했다고 가정해봅시다. P회사는 S회사를 좌지우지할만한 힘은 지녔지만 20%의 다른 주주가 있습니다. 힘은 굉장히 강하고 실제 S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지분상으로 100%은 아닙니다. 그래서 가정이 필요합니다. "20% 다른 주주 지분을 P회사가 사들였다"라는 가정입니다.
가정이라고 이야기한 것은 이런 사건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치 가상의 거래라고 볼 수 있습니다. P회사는 Date of Acquisition에 S회사의 20%지분도 사들였다고 가정해야 합니다. S회사의 지분을 사들일 때 당연히 그 날짜의 S회사 주식 Market price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 지분만큼을 NCI로 표시하게 됩니다.
Eliminating entry를 보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Credit Record에 P회사가 S회사에 투자한 Investment를 표시함으로써 투자를 없애는 것으로 표시합니다. 그리고 Credit Record에 NCI를 표시함으로써 20%지분을 P회사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표시합니다. 실제 분개된 것을 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결재무를 공부하면서 흥미롭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말만 들으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가상의 거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들으면 굉장히 합리적입니다. 또한 P회사와 S회사간 거래를 일일이 없애주는 작업을 하는데 그 과정에서 분개를 해보면 상당히 합리적이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학원에서 여러 선생님들이 도움을 줄 수 있으니 도움을 받고 회계를 논리적, 효과적으로 이해했으면 합니다. 학원 홈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kais.co.kr/smis/default.do
감사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의 공식적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정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 내용은 저작권법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 게시, 배포, 도용 등을 금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저작자의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AICPA 공부에 대해 > 과목별 Issue poi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CPA시험 중 BAR에서 다루는 Derivatives 파생상품 개념을 이해하는 방법 (1) | 2024.12.28 |
---|---|
AICPA시험 기준 Statement of Cash Flow 현금흐름표 이해하는 것에 대해 (1) | 2024.12.07 |
미국회계사 시험에서 주당순이익 EPS(Earnings per Share)를 왜 배울까? - DEPS, BEPS (0) | 2024.11.19 |
AICPA시험 과목 중 왜 Lease는 어려울까? - Lessee기준 Finance lease, Operating lease (2) | 2024.11.07 |
Account Payable Reconciliation문제 풀어보기 -Subledger, General Ledger 차이 분석 (1)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