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CPA 공부에 대해/과목별 Issue points 45

AICPA시험에서 FAR과목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일까? - Valuation 가치 설정 문제

학원에 회계 전공인 학생이 있기도 하지만 회계 전공이 아닌 학생도 있습니다. IP반 구성을 기수에 따라 다르지만 회계 또는 경영 전공이 아닌 사람이 더 많을 때가 있습니다. 종합반도 이 비율을 마찬가지 입니다. 결국 전공이 경영 또는 회계가 아닌 사람들도 USCPA시험에 도전하게 됩니다. IP반을 그만두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부분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Accounting 과목을 넘지 못할 것 같아요."라는 반응이 대부분입니다. 강의하면서 Business Law 때문에 미국회계사 공부를 못 하겠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은 없습니다. 물론 IP반에서 그만두는 경우 학기 시작후 2주안에 대부분 학생들이 그만두고 그 후에는 거의 그만두지 않습니다. 일단 본인이 견디는 시간이 약 2주 정도 걸린다는 ..

회계 기준의 변경(Accounting principle change) 회계 추정의 변경(Accounting estimate change)

카이스한국회계학원은 다른 학원과 달리 회계 과목에 진심입니다. 일단 회계 수업 비중이 더 많습니다. 학원 원장 선생님께서 제안하는 스텝을 밟아가면 회계원리, 중급회계1, 중급회계2, 고급회계 순으로 배우게 됩니다. 때에 따라 중급회계1부터 수업을 듣는 경우가 있으며 중급회계는 회계 각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각 계정과목에서 배워야하는 중요한 특징을 배우게 됩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고 어떤 식으로 장부에 숫자를 기입하는지 배우게 됩니다. 이 모든 것을 배우게 되면 고급회계로 넘어 옵니다. 총론을 배우는 형식으로 넘어 오는데 그 중 시험에서도 잘 물어보는 주제가 등장합니다. 바로 Accounting Change입니다.US GAAP은 Accounting change를 좀 더 세부적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

other comprehensive income(OCI)처리 항목에 대해 - AICPA시험 관련 US GAAP기준

Income Statement(손익계산서, I/S)는 1년간 실적을 담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이 회사가 잘 성장하고 있는지 상태를 보기 위해 살펴보는 것이 I/S입니다. 저도 일을 할 때 I/S 쪽을 먼저 살펴봤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재무비율을 그 자리에서 계산하고 재무 상태를 얼추 파악했었습니다. 미팅시간이 짧은 상태에서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I/S를 보다보면 Net Income(당기순이익, NI)과 Other Comprehensive Income(기타포괄손익, OCI)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맨 끝에는 Comprehensive Income(포괄손익, CI)를 볼 수 있습니다. 결국 NI와 OCI를 모두 합한 것이 CI라는 것을 볼 수 있..

[AICPA시험] Derivative(파생상품) 회계 이해가 왜 어려운가? Fair value v. Cash flow hedge

AICPA시험 과목에서 파생상품에 대한 부분 조정이 한동안 있었습니다. 2023년 이전에는 파생상품에 대한 부분이 꾸준히 시험에 등장했었고 이와 관련된 Journal entry도 학습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조정이 한번 있고 나서는 Derivative 파생상품에 대한 회계쪽 비중이 확실히 줄었습니다. 물론 Foreign currency관련하여 환률 변동에 따른 이익에 대한 표시는 여전히 시험에 출제되었습니다. 그런데 파생상품에 대한 부분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2024년 USCPA시험 제도가 변경되면서 Derivative에 대한 이슈는 통째로 BAR로 넘어왔습니다. Derivative라는 파생상품 자체에 대한 이해와 Derivative에 대한 Journal entry를 학습해야할 필요가 ..

USCPA시험 중 최신 REG 경향에 대하여 - Business law 비중 상승

2024년도부터 미국공인회계사 시험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과목 조정도 있고 범위 조정도 있었습니다. REG부분도 일부 조정이 생겼습니다. 이미 2022년부터 차츰 시험 범위 변경이 있어왔고 2023년, 2024년 들어서면서 시험 범위가 전반적으로 축소되었습니다. Taxation항목 중 일부는 TCP로 들어가게 되었고 Business law에서도 Government regulations부분은 많이 축소 되었습니다.  그 중 REG시험 중 한가지 재밌는 현상이 있습니다. 바로 Business law 비중 증가입니다. 2024년 개편 전에는 Taxation의 비중이 Business law 비중보다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일단 Simulations문제 즉, TBS 문제는 Taxation으로 채워졌습니다. 객관식..

AICPA시험 과목에서 등장하는 Dividend 배당금 이슈들 - FAR, REG

학원에서 일을 하다보면 다른 선생님께서 어떻게 개념을 설명하는지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은 KAIS카이스한국회계학원입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설명하는 방식도 다르고 포인트도 다릅니다. 그리고 같은 단어가 다른 과목에서도 등장하기 때문에 여러 과목을 연속해서 공부하다보면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집니다. 그만큼 한 개념을 이해하는데 다양한 것을 배울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설명을 해보고자 하는 것은 Equity파트 중에 Dividend에 대한 부분입니다.  1. 회사와 주주간 거래는 Revenue, expense인식을 하지 않는다.Equity쪽을 배우게 되면 FAR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 중 하나가 "회사와 주주간 거래는 수익 또는 지출..

회계초보자를 위한 Revenue expenditure(수익적 지출)과 Capital expenditure(자본적 지출) 설명

AICPA학원에서 근무를 하다보면 학생들이 질의 문답을 볼 일이 있습니다. 시간이 어느 정도 흘렀을 시점에 '이 정도 수준은 알아야 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이 정도까지 알고 있어?' 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속도가 다르고 학습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식 습득에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카이스한국회계학원은 회계쪽에 확실히 힘을 주고 강의가 진행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회계원리, 중급회계1, 중급회계2, 고급회계, 정부 및 비영리회계로 세분화해서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일단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강의목록을 보면 다른 학원은 이렇게까지 회계 수업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보니 회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중급회계1에서 ..

Financial Ratio를 무조건 외워야만 해결되나? 영어 단어를 보면 해결되는 것들 + Journal entry(분개)의 필요성

학원에서 학생들이 공부를 할 때 과목마다 다른 방식을 적용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외우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떤 개념이든 Definition 정의는 반드시 외워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든 것을 외우기 시작하면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요? 아마도 버티기 힘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우는 것은 외우지만 "규칙"은 찾아내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규칙을 잘 찾아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Financial ratio"입니다.1. 영어 이해하기이 시험은 영어로 진행됩니다. Accounting의 모든 내용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영어 단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먼저 익혀야하는 것은 "수학 관련 영어식 표현"..

계정과목 Allowance for ------ (ex. bad debt, inventory) 에 대해서 - 미국공인회계사 시험 중 FAR 과목

USCPA시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은 Accounting입니다. 당연히 회계사 시험이기 때문에 회계를 잘 알아야 합니다. 회계를 잘 알아야 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감사, Audit" 때문입니다. 회계사의 주요업무는 회계 장부를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회계장부에 대한 감사를 하는 것입니다. 감사를 하기 위해 당연히 회계를 잘 알 수 밖에 없습니다. 공부를 하다보면 회계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인 "발생주의 Accrual basis"를 배우게 됩니다. 회계를 배우지 않는 경우 현금 중심적으로 사고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금을 받으면 매출로 인식하고 현금을 납부하면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회계를 배우지 않는다면 현금을 기준으로 생각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회계를 배우게 되면 현금 기준으..

Effective rate (유효이자율) 개념 이해하기- AICPA시험 중 BAR시험 과목

미국공인회계사 공부를 하면 일반적으로 FAR 회계 과목을 먼저 듣게 됩니다. 중급회계2를 넘어가게 되면 Long term liability 쪽을 배우게 됩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Present value 현가 개념을 배우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배우는 것 중 하나가 Bond payable, Lease payable 쪽 부분입니다. Payable이니깐 당연히 액면가가 반영되어 있지만 실제 시장가치는 액면가와 다릅니다.  Bond를 배우게 되면 Stated interest rate 또는 Coupon rate을 배웁니다. 그리고 연달아서 등장하는 것이 Discount rate 또는 Effective rate입니다. 실제 현재가치를 따질 때는 Effective rate이 중요합니다.  BAR은 회사 경영에 대한..